블로그

구글 애드센스 예상 수익표? 한 달 30만원 수익 위한 조회수는?

Kimedros 2022. 7. 19. 00:41

구글 애드센스를 달면 수익이 어느 정도 되는지는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모든 이들이 아직 애드센스를 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가장 궁금해지는 주제일 것이다. 다행스럽게도 구글은 공식 사이트에서 지역별, 분야별로 애드센스를 통해 얼마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있다. (https://www.google.com/intl/ko_kr/adsense/start/)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목요연하게 표로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하나씩 지역과 분야를 클릭하고 조회수 게이지바를 조정해야 수치를 알 수 있어서 직접 표로 한 번 정리해보았다. 특히, 조회수 별로 수익이 달라지는데 어떤 특별한 공식이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하여 조회 수를 조정해서 수익률 변화도 살펴보았다.

 

구글이 제시하는 분야(카테고리)는 건강부터 컴퓨터/전자제품까지 총 25개이다. 월 조회수는 최소 50,000부터 최대 10,000,000까지 조정하여 수익을 알 수 있다. 우선 최초 10개의 분야에서 수동으로 월 조회수 4개를 찍어서 수익률을 정리했다. 조회수는 최소 단위인 50,000과 여기에 약 두 배인 98,850 그리고 이것의 약 두 배인 201,693, 마지막으로 최대치인 10,000,000을 선택했다. 구글의 불친절한 조회수 게이지바 때문에 조회수를 정확하게 깔끔한 숫자로 찍지는 못했다.

 

월 조회수 50,000 98,850 201,693 10,000,000
건강 9,462 18,706 38,168 1,892,400
게임 3,480 6,880 14,038 696,000
과학 4,002 7,912 16,144 800,400
금융 15,012 29,679 60,556 3,002,400
뉴스 2,010 3,974 8,108 402,000
도서/문학 1,296 2,562 5,228 259,200
미용/피트니스 9,390 18,564 37,878 1,878,000
부동산 10,002 19,774 40,347 2,000,400
사법/정부기관 6,192 12,242 24,978 1,238,400
사업/산업 8,718 17,235 35,167 1,743,600

 

이렇게 정리해놓고, 각 분야별, 조회 수 별 어떤 비밀 공식이 있는지 그래프로 그려보고 조회 수당 수익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소 허무했다. 어떤 특별한 공식이 있는 것은 아니고 각 분야별 조회 수당 수익이 단순히 하나로 정해져 있고 조회수 게이지바를 조정하면 수익이 산술적으로 증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서, 건강 카테고리는 월 1회 조회수일 경우 예상 수익을 $0.1892로 두고 조회수 별 예상 수익을 보여주었다. 이렇게만 알고 넘어가자니 조금 아쉬워서 구글에서 제시하는 4개 지역별로 분야별 조회수 예상 수익은 어떤 차이를 보일지 정리해보았다.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이 표는 구글에서 보여주는 예상 수익을 조회수로 나눈 것이다. 즉, 월 1회 조회 수일 때 예상 수익이 정리된 것이다. 예상 수익은 당연히 달러다. 어차피 구글에서 지급받을 수익이 달러이고 요새 특히 환율이 급변하고 있어서 굳이 원화로 환산하지 않았다. 대강 0.1$이 130원이라 생각하면 될 테니까.

 

지역(단위: $) 아시아/태평양 순위 북미 순위
건강 0.1892 4 0.2088 4
게임 0.0696 22 0.0524 23
과학 0.0800 21 0.0886 20
금융 0.3002 1 0.3856 1
뉴스 0.0402 24 0.0404 25
도서/문학 0.0259 25 0.0649 22
미용/피트니스 0.1878 5 0.1561 10
부동산 0.2000 3 0.1740 6
사법/정부기관 0.1238 15 0.1540 11
사업/산업 0.1744 6 0.2200 3
쇼핑 0.1625 7 0.1680 9
스포츠 0.0852 19 0.0508 24
식음료 0.1409 8 0.1720 7
애완동물/동물 0.1338 11 0.1009 19
여행 0.1164 16 0.1692 8
예술/엔터 0.0696 22 0.0674 21
온라인커뮤니티 0.0947 17 0.1306 15
인물사회 0.0824 20 0.1040 18
인터넷/통신 0.1348 10 0.1746 5
인테리어/조경 0.2206 2 0.2802 2
자동차 0.1276 12 0.1104 16
참고자료 0.1368 9 0.1343 13
취미레저 0.1265 14 0.1324 14
취업/교육 0.0854 18 0.1484 12
컴퓨터/전자제품 0.1267 13 0.1102 17
합계 3.2351   3.5981  
평균 0.1294   0.1439  
지역(단위: $) 유럽, 중동아프리카 순위 남미 순위
건강 0.0641 13 0.0464 13
게임 0.0482 19 0.0384 17
과학 0.0457 20 0.0318 22
금융 0.2336 1 0.2419 1
뉴스 0.0240 25 0.0116 25
도서/문학 0.0318 23 0.0347 21
미용/피트니스 0.0830 8 0.0468 12
부동산 0.0623 14 0.0424 16
사법/정부기관 0.0646 11 0.0958 4
사업/산업 0.0990 4 0.0911 5
쇼핑 0.0925 6 0.0583 10
스포츠 0.0313 24 0.0209 24
식음료 0.0598 16 0.0384 17
애완동물/동물 0.0596 17 0.0373 19
여행 0.0976 5 0.0623 9
예술/엔터 0.0434 21 0.0272 23
온라인커뮤니티 0.0702 9 0.0721 6
인물사회 0.0391 22 0.0350 20
인터넷/통신 0.1055 3 0.1050 3
인테리어/조경 0.1294 2 0.0709 7
자동차 0.0667 10 0.0488 11
참고자료 0.0602 15 0.0426 15
취미레저 0.0644 12 0.0449 14
취업/교육 0.0586 18 0.1093 2
컴퓨터/전자제품 0.0917 7 0.0680 8
합계 1.8264   1.5221  
평균 0.0731   0.0609  

 

각 예상 수익 옆에 있는 숫자는 분야별 순위를 나타낸다. 몇몇 흥미로운 결과를 살펴보면, (데이터에 기반한 것은 아니고 나의 추론을 근거로 했다.)

  • 어찌 보면 당연하게도 금융 분야가 전 지역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제공했다. 아무래도 인터넷을 통한 금융분야의 광고 효과가 높은 것 같고 분야의 특성상 노출 대비 광고주의 수익으로 연결되는 가능성이 높을 테니 당연한 결과라고 보였다.
  • 인테리어/조경도 광고단가가 꽤 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안타깝게도 흔히 블로그에서 글을 남기는 도서/문학 분야는 수익이 낮았다. 아무래도 도서/문학 분야 글이 가장 넘쳐나다 보니 쉽게 말해 광고판 공급이 너무 많이 되고, 책 한 권당 단가가 그리 크지 않아 광고 단가도 높지 않은 것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요새 책을 잘 사보지도 않고 광고에 대한 수요도 얼마 되지 않으니 그러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나 싶다.
  • 지역별로도 특성이 있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남미에서는 취업/교육에 대한 광고 단가가 두 번째로 높다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이런 비교가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지만, 전체 합계를 내보면 아시아/태평양 국가나 북미의 구글 애드센스의 전체 파이 크기가 다른 두 대륙에 비해 두 배 이상 차이 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아무래도 인터넷 접근성이 남미보다는 이 두 지역이 더 높아 보이고, 유럽은 하필 아프리카와 묶어놓아서 구체적으로 추측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 평균적으로 아시아/태평양 국가 지역의 경우 조회 수 1당 약 $0.1294, 현재 환율로 약 168원을 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만약, 블로그를 부업으로 생각하고 현실적으로 한 달 30만 원 정도 수익을 가져간다고 가정해보면, 대략 한 달에 1,783회, 하루에 60회의 조회수를 기록해야 한다.